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지역별 이색 송편 추석음식 건강하게 먹기 송편의 유래
    리뷰앤미/생활정보 2020. 9. 28. 12:42

    오래전부터 추석은 일 년 중 가장 풍요로운 시기였습니다. 추석은 음력 8월 15일입니다. 그래서 이 때 술도 빚고 떡도 만들어서 함께 나누어 먹으면서 수확의 기쁨을 즐겼습니다. 추석을 떠올릴 수 있는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송편을 꼽을 수 있습니다. 우리 조상들은 가족들이 빙 둘러앉아서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면서 송편을 직접 집에서 빚었습니다. 그런 소중한 추억들을 간직하고 계신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요즈음에는 이렇게 집에서 송편을 빚어 먹는 가정들은 옛날만큼 흔하지는 않습니다. 대부분 전문적인 떡집에서 구입을 하는 실정입니다. 현대에 들어와서 떡집의 송편은 그 모양과 맛이 예전 우리 조상들의 고유한 것과는 꽤 달라졌습니다.

    곡물 특히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는 떡의 종류도 다양합니다. 또한 떡은 전통적인 잔칫상에서 필수적으로 준비하는 음식입니다. 

    송편은 추석에 햇곡식과 햇과일을 수확한 후 조상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서 만드는 음식이었습니다. 멥쌀가루를 끓는 물로 익반죽해서 팥, 깨, 콩 등의 소를 넣어 반달 모양으로 빚어서 솔잎을 깔고 찐 떡이 송편입니다.

     

     송편의 유래

    추석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송편은 소나무 '송'에 떡 '병'을 써서 '송병'으로 불렸습니다.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을 차례상에 올려 조상님께 감사한 마음을 전했고

    노비들에게 '노비송편'을 나누어 주어 농사일에 힘써 줄 것을 격려하기도 하였습니다.

    출처 식품안전나라

    그렇다면 우리지역만의 이색 송편은 무엇이 있을까요?

     

    서울에는 오색송편이 있습니다. 말오미자, 치자, 쑥으로 색을 알록달록 내어 한 입에 먹을 수 있도록 작게 만듭니다. 주로 깨 소를 넣어 빚습니다.

     

    강원도에는 감자송편이 있습니다. 감자를 이용한 녹말을 반죽하고 팥, 강낭콩 소를 넣습니다. 강릉에서는 손자국 모양을 내어 멋을 내기도 합니다.

     

    충청도에는 호박송편이 있습니다. 호박을 멥쌀가루와 섞은 반죽에 대추, 깨 소를 넣으며 호박모양으로 빚습니다. 색깔이 곱고 단맛이 나며 쫀득한 식감을 가집니다.

     

    전라도에는 모시송편이 있습니다. 영광, 고흥에서는 모시잎을 삶아서 반죽에 섞고 박콩, 팥, 밤, 대추, 깨 소를 넣습니다. 오래 두어도 쉽게 굳지 않고 쫄깃합니다.

     

    경상도에는 칡송편이 있습니다. 산간에서 나는 칡을 반죽에 섞고 소로 붉은팥을 넣기도 합니다. 칡의 쌉싸름한 맛과 특유의 향을 느낄 수 있으며 큼직하고 투박하게 빚습니다.

     

    제주도에는 완두송편이 있습니다. 달짝지근한 완두콩 소를 넣으며 둥글로 납작한 비행접시 모양으로 빚습니다.

     

    이상 지역별로 특색 있는 송편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함께 알아 보았습니다. 출처는 추석음식 송편과 반달을 똑 닮은 고흥 모시잎송편(문화재청)과 알고 먹으면 더 맛있다! 송편(문화체육관광부)입니다.

    출처 식품안전나라

    칼로리에 관해서 말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깨 송편 6개는 336kcal이고, 쌀밥 1 공기는 300kcal입니다. 그림에서도 보실 수 있듯이 깨 송편 6개가 쌀밥 1 공기보다 칼로리가 더 높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수치를 인식하지 못한 채 먹는다면 추석이 끝난 뒤 후회가 밀려오면서 다이어트에 대한 압박감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맛있게 먹고 먹은 만큼 운동을 하겠다, 먹은 만큼 칼로리를 다 소모시키겠다고 하시는 분들은 괜찮을 것도 같습니다.

     

    본인의 식성과 건강 상태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해서 드시기 바랍니다.

    출처 식품안전나라

    참고로 1인분 기준 명절 음식 칼로리를 제공해 드립니다. 잡채는 204kcal, 소갈비찜 495 kcal, 호박전 208 kcal, 화양적 273 kcal 입니다.

     

    칼로리 수치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기보다는 어떤 종류의 음식이든지 과식하지 않고 알맞게 드시면 되겠습니다.

     

    끝으로 맛있는 추석음식을 즐겁고 건강하게 먹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건강하게 먹는 방법

    맛 본다 생각하기 음식의 종류가 많으므로 조금씩 맛을 본다 생각하며 먹습니다.

    개인 접시 이용하기  접시에 덜어 먹으면 과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싱겁게 먹기 국물보다는 건더기 위주로 먹고, 전은 되도록 간장을 찍지 않고 먹습니다.

    음주 제한하기 지나친 음주는 열량 섭취를 증가시키므로 1회 1~2잔을 넘지 않도록 합니다.

     

    열량 낮추는 조리 방법

    튀김옷은 되도록 얇게 합니다. 전을 데울 때는 기름 없이 오븐, 전자레인지를 이용합니다.

    육류 튀김, 볶음보다는 굽거나 삶아 조리하고 껍질, 기름을 제거해 살코기 위주로 섭취합니다.

    나물 기름, 양념은 소량 사용하며 볶지 말고 무침으로 조리합니다.

     

    지금까지 송편의 유래, 지역별 이색 송편 그리고 맛있는 추석 음식을 즐겁고 건강하게 먹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위 정보들의 출처는 식품안전나라 식품안전지식입니다. 방통위에서 온 문자를 보니 올 추석은 고향 방문 대신 영상통화로 가족 간 정을 나누어 보아요.라고 제안을 합니다. 대면하지 못하는 가족들이 있더라도 사랑의 마음만은 풍성하게 전달하는 그런 따뜻한 추석 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2020. 앤미 All Rights Reserved.

     

     

    댓글

Designed by Tistory.